국제카드 (MasterCard) 출시 준비
(Quip에서 옮겨 왔어요^^)
계약 조건 최종 확인 필요! @백진식 @김원기 @Mark
차이가 이전에 마스터카드에게 보낸 최종 projection
(안나님이 윌님과 상의하면서 만든 것 같아요!)
•
아래의 projection에 따라 Year 5의 누적 XB Volume (USD, not KRW)를 최종 목표 거래액으로 잡을 예정
위의 프로젝션에 따라 아래와 같이 마스터카드 제휴 제안이 왔음
•
실제로 대고객에게 나가기 시작하는 시점은 11월 11일이지만, 계약 시작 시점은 2022년 1월 1일 시작으로 계획 중. 그러면 차이에게 더 유리!
Default view
Search
재무에게 드리는 질문!
1.
마케팅 비용을 선지급 받기 위해서 수수료를 조금 낮춘 상황입니다. 차라리 수수료를 높이고, 마케팅 비용은 매년 후지급으로 N원을 받는다, 이런 형태는 어떨까요?
2.
거래수수료는 후지급, 마케팅비용은 선지급되는 형태입니다. 그럴 경우, 위와 같은 계약 조건이 어떤가요?
3.
프로젝션은 여러번 조정한 것으로 알고 있으나, 그래도 좀 공격적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마케팅비용은 일단 미리 받고, 목표 달성 못하면 회수하는 조건입니다. 이슈 없나요?
국제카드 (MasterCard) 출시 준비
(Quip에서 옮겨 왔어요^^)
계약 조건 최종 확인 필요! @백진식 @김원기 @Mark
차이가 이전에 마스터카드에게 보낸 최종 projection
(안나님이 윌님과 상의하면서 만든 것 같아요!)
•
아래의 projection에 따라 Year 5의 누적 XB Volume (USD, not KRW)를 최종 목표 거래액으로 잡을 예정
위의 프로젝션에 따라 아래와 같이 마스터카드 제휴 제안이 왔음
•
실제로 대고객에게 나가기 시작하는 시점은 11월 11일이지만, 계약 시작 시점은 2022년 1월 1일 시작으로 계획 중. 그러면 차이에게 더 유리!
재무에게 드리는 질문!
1.
마케팅 비용을 선지급 받기 위해서 수수료를 조금 낮춘 상황입니다. 차라리 수수료를 높이고, 마케팅 비용은 매년 후지급으로 N원을 받는다, 이런 형태는 어떨까요?
2.
거래수수료는 후지급, 마케팅비용은 선지급되는 형태입니다. 그럴 경우, 위와 같은 계약 조건이 어떤가요?
3.
프로젝션은 여러번 조정한 것으로 알고 있으나, 그래도 좀 공격적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마케팅비용은 일단 미리 받고, 목표 달성 못하면 회수하는 조건입니다. 이슈 없나요?
•
1차 논의결과 : 거래수수료의 경우, 분기 혹은 반기단위로 정산되는 방식으로 마스터와 추가 논의 필요, 마케팅 비용은 선지급 방식으로 지급되는 형태로 유지(후지급의 경우, 목표 미달성 risk존재)
____________________
9월 28일 확인이 필요한 사항들
•
우리은행 우대환율 가능한지 확인 Will Kim
•
테스트결제 최대한 빨리 진행을 해서 Jihoon Kim
◦
정산 테스트를 최대한 빨리 돌려보고 Will Kim
◦
CS에서도 데이터가 어떻게 어드민에서 확인이 되는지 보고! Adam kong
•
FDS 관리자 (PM급)이 꼭 필요하다. TO 확인 필요 Gigi Kwon
•
해외결제에만 수수료가 추가적으로 붙는데
◦
개발에 해당 사항이 고려되어있는지? Jihoon Kim
▪
수수료는 비씨가 알려주는 부분이여서 차이는 문제 없다. 그리고 정산시스템을 이포넷이 만들어서 괜찮다. 하지만, 국내결제의 경우 항목 A+B를 합쳐서 비씨에게 주면 된다고 알려줬는데, 국제결제는 어떤 항목들을 보내줘야되는지 아직 몰라서 확인 필요하다. (feat. Isaac)
◦
소비자 카드 이용약관에 반영되어있는지? Dayeon Ahn => 완료!
9월 16일 업데이트 (10월 1일 출시까지 얼마 안 남았습니다!!)
1.
각 부서마다 담당자
a.
사업 - @Gigi Kwon , Soy Hong
b.
마케팅 - @minyoung kim
c.
프로덕트 - @'Ji'Hoon Kim
d.
재무 - @백진식 / @김원기
e.
정보보안 - @David Yoon / @Eiches Han , @Esther Park
f.
법무 - @Dayeon Ahn
g.
CS - @adam kong
h.
Data - @Simon Lee(이수형)
2.
비즈니스 모델 요약 (aka 차이는 돈을 어떻게 벌어요?)
b.
발급비
i.
장당 5000원 + 2500원 배송비(배송비+BC발급비) = 7000원 ~ 7500원
1.
선불체크카든 4500원 + 2500원 배송비 = 6500원 정도 됨. 국제카드는 교통카드 겸용 칩이 추가되어서 발급비용이 증가.
c.
수수료 구조
i.
해외 결제에 대하여 최종 결제서비스 소비자인 해외가맹점 및 카드고객이 부담하는 수수료는 다음과 같음.
1.
해외가맹점이 부담하는 가맹점수수료 (ex: 1.6%) ← 덜 지급
2.
카드고객이 부담하는 브랜드수수료(ex: 1.0%) 및 해외 이용 수수료(ex: 0.25%) ← 더 수취
ii.
결국 이러한 최종 고객 부담 수수료 2.85%를 차이가 수취하여 결제서비스 참여자인 Master카드(네트워크사), BC카드(프로세싱 및 국제카드 업무대행사)에 나누어 지급하는 구조임. 실제 현금흐름의 경우 카드고객에게 수취한 금액에서 각자 자신의 몫을 떼고 차이 → BC → Master → 가맹점에게 지급됨.
iii.
다만 실제로는 Master, BC, 차이가 상기 2.85%의 수수료를 순액으로 나누어 갖는 것은 아니고 삼자간에서 제공 업무에 따른 별도의 수익과 비용이 발생하여 이를 계약에 따라 별도 정산하면서 각자의 수수료를 인식함. (ex: Master의 경우 브랜드 수수료 수취(from 차이), 네트워킹 수수료 수취(from BC) / BC의 경우 프로세싱 업무 대행 수수료 수취(from 차이), 차이의 경우 마케팅 지원 수수료 수익 수취(from Master카드))
iv.
차이의 수익 구조만 보면 $ 100 (환율 1,000원 가정시 10만원) 결제되는 경우 순수익은 다음과 같음. 1달 동안에 $100, 1건의 결제만 발생시 차이 순매출(마케팅 비용 등은 별도 고려 X). [101,250원 - 99,400원 - 897원 + 500원 + - a = 1,453원 + - a]
1.
카드고객에게 101,250원 수취(브랜드수수료 1% + 해외이용수수료 0.25%)
2.
BC카드에 정산대금 99,400원(발급사수수료 1.6% + 해외이용수수료 0.25% 제외하고)입금 (환율 1,000원 가정시 $ 99.4). ← 실제 농협 계좌에는 USD로 입금됨.
3.
정산일차 차이(ex : D+3일)의 환차손익의 Risk는 차이에서 부담함. 해당 환차손익으로 인한 기대 수익은 없는 것으로 가정함.(우리은행 우대환율 적용)
4.
BC는 $ 99.4 을 Master에게 전달하고, Master는 브랜드수수료 $1를 제외하고 해외가맹점에 $ 98.4을 지급함. (결국 해외 가맹점은 가맹점 수수료 $ 1.6 부담)
5.
BC에 상기 1~4. 업무 대행에 대한 대가로 별도의 업무대행수수료를 지급 ex : 897원 (결제건당 897원 등 + a_월정산)
6.
Master로부터 마케팅 지원금 명목의 기타수수료 수익 수취 ex : 500원(결제금액당 0.5%~0.7% 등 + a_월정산)
v.
상기 가정으로는 Take rate 1.4% 수준으로 높게 측정되나 이는 AoV 100,000원 가정시의 사례이며, 추정 결과 AoV 60,000원 수준이면 기존 국내체크카드 결제 수익과 유사한 수준, AoV 40,000원 수준이면 BC의 업무대행 프로세싱 비용을 겨우 커버하는 BEP 수준으로 예상됨. 때문에 향후 XB 거래에 대해선 AoV 흐름에 대한 별도의 tracking이 필요함. 해외결제 부스트의 경우에도 이를 고려하여 AoV를 높일 수 있는 방향으로의 설계가 필요.거래구조도는 첨부파일(PDF One Pager : 국제카드 업무 개요_210429 (1).pdf 참조)수익성 분석은 첨부파일 해외 체크카드 Analysis(작업중)_V6.3.xlsx 참조기타 참조자료 CHAI - BC - Master 국제 체크카드 (2).pptx , 차이카드 지원규모 조건 안_v2.0.pdf PDF One Pager : 국제카드 업무 개요_210429에는 해외이용수수료 0.2%이나 BD 및 재무팀 논의 결과 최종 상품 출시에는 0.25%로 하는 것으로 하였음. 또한 One pager에 기재된 대로 BC 및 Master와 주고받는 수익 비용의 세부적인 조건이 많으나 iv 사례에서는 가장 대표적인 핵심사항(BC 결제건당 897원 지급, Master 결제건단 0.5% 수취 등)만 표시하였고 나머지 부분은 + - a 로 표시하여 금액에 반영하지 않았음.
3.
계약서
a.
수수료 최종 확인 중
i.
해외결제의 경우: ???
ii.
국내결제의 경우: ???
b.
마케팅 인센티브만 아직 확정되지 않아서
c.
정 안 되면 10월 20일 출시 일단 하고, 그 뒤에 계약서 날인하는 것으로 (노플라블럼)
i.
Dayeon Ahn Soy Hong 올해 3월에 비씨와 국제카드관련 맺은 계약서(약식)가 있음. 이것도 수정이 필요할까...!?
1.
요거는 차이가 비씨에게 줘야되는 수수료가 정해진 계약서이고, 지금 아직 맺지 않은 계약서는 마스터카드와의 협의 부분이다.
2.
마스터 계약 완료되면 해당 계약서도 다시 한 번 컨펌하는 것으로!
4.
출시 날짜: 11월 18일 목요일
a.
일정
i.
10월 27일 비씨에서 칩테스트 완료
ii.
11월 3일부터 내부 운영기 테스트, 승인/매입 위주의 테스트 진행
iii.
11월 12일 목요일 대고객 오픈
1.
만약 큰 이슈 없으면 조금 더 빠르게 오픈 가능!?
b.
‘비교통' 칩 5만 (교통 불가능) + 교통 칩 5만 (교통 활성화 된 상태에서 나가는 카드) 발주를 넣은 상태 -> 비교통 5만장 컨텍리스 문제로 교통으로 전환 후 컨텍카드 5만장 재발주
i.
‘비교통’ 칩이 떨어지기 전에 교통 기능 출시 필수(재확인)
c.
2개가 상품번호가 다름
ii.
bin, 상품코드, 상품명
iii.
524688, 100915, 차이카드(국내외겸용)
iv.
524688, 100928, 차이카드(교통)
5.
결제테스트 진행
a.
판을 작게 - 용산 미군부대 + 해외직구
b.
판을 크게 - 해외에 있는 지인들에게 카드를 보내서 결제테스트
7.
FDS (Fraud Detection System 이상거래방지 시스템)
a.
운영에서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파악 필요
i.
시스템 구축은 외부업체가 완료함
ii.
운영 방법
1.
일단 서비스 진행을 하면서 이상거래에 대한 후분석 진행 후 어떻게 조치를 취할 것인지 논의
a.
후분석 진행할 수 있는, 수동으로 진행할 수 있는 리소스가 없는 것이 문제!
2.
현재는 금액을 소비자에게 환불해주는 것이 더 싸게 치일 것임
8.
외환 취급 업자로써의 자격조건 유지 KJ Lee
a.
직원 중 2명 (Esther, Elena)이 수료해야되어서 함 → Elena 대체할 분 찾아야 됨! → 마스터에 물어보니 괜찮다고 함
9.
자금 정산 프로세스 확인 Will Kim
a.
해외결제의 경우 정산 프로세스가 굉장히 복잡하던데... ← 개발 된 정산 시스템 Logic은 매우 복잡하나, 실제 자금 정산 집행 프로세스는 그렇게 복잡하지는 않을 것 같음. 일부 수작업이 필요한 부분이 있긴 하지만 결국 최종적으로는 매일 시스템에서 산출 된 정산금액(KRW)를 BC 외화정산계좌인 농협 계좌로 이체하면 됨. 시스템에서 산출된 세부 회계처리 등이 오히려 외화환산손익 등의 발생으로 복잡할 수 있음.E4net이영석 전무와 통화하여 9월 중 발생한 실제 테스트 결제건을 바탕으로 시스템 화면 등 정산 프로세스에 대하여 오프라인 설명을 갖기로 하였음. 실제 test 결제 발생 시점과 금액에 대한 사전 공유가 필요함, 결제 발생시 정산 셋팅된 일자에 따라 아래 (1),(2) 정산 프로세스 실제 운영을 재무팀에서 진행 할 예정임.
b.
(1) 해외결제 금액, (2) 차이(발급사)수수료, (3) BC카드 대행 수수료, (4) 기타수수료수익(Master 마케팅 지원금) 각각의 자금 정산 프로세스 확인이 필요함. 항목별 정산 흐름은 다음와 같음.
c.
(1) 해외결제 금액 및 (2) 차이(발급사)수수료 → 확정
i.
차이는 E4net에서 개발된 시스템에 따라 일자별로 확정된 USD 결제 금액(ex:$100)을 확인할 수 있음.
1.
정산 담당 은행인 우리은행과의 계약에 따라 BC 전신환환율이 아닌 우리은행 우대환율을 매일 수동으로 확인하여 정산일 도래시(ex: D+3일) 시스템에 입력 해줘야함(우리은행에서 개발 시스템에 자동 반영 불가능 한 것으로 확인) → 계약은행 우리은행이 맞는지 구체적인 정산 프로세스 및 Point of contact 확인 필요, BC 담당자 및 우리은행 정산 계좌 담당자에 유선 확인 예정 (9월 23일 확인 요청 예정 with Ryan, TBD)
ii.
환율 수동 체크시 BC의 Master 관련 해외 정산 농협 계좌에 이체할 KRW 결제 금액(ex: 환율 1,000원 가정시 100,000원)이 확정됨. 확정된 USD 결제 금액에 차이(발급사)수수료(ex:1600원)를 제외한 금액(98,400원)을 우리은행 계좌에서 농협 계좌로 이체함.
d.
(3) BC카드 대행 수수료 → 확정
i.
BC카드 대행 수수료는 BC와의 차이카드 국제(Master) 대행 계약서에 따라 BC카드에서 건별로 897원 및 기타 월, 분기 분담금을 계산하여 해당 월의 “대행수수료”를 익월 15일까지 차이에 청구하며, 차이는 익월 25일까지 BC에 지급함. 9월 테스트 결제금액은 BC 청구서에 따라 10월 25일에 첫 수수료 지급될 예정임.→ BC의 정산서 교부 형식 등 BC 담당자와 최종 확인 필요
ii.
해당 대행 수수료 금액은 기존의 BC 대행수수료 등과 유사하게 대행수수료 이체 계좌로 별도 이체 예정임.
e.
(4) 기타수수료수익(Master 마케팅 지원금) → 미확정
i.
Master 마케팅 지원금은 Master와 최종 확정된 계약에 따라 Master에서 차이에게 별도의 수취 계좌로 지급할 예정임.(선급 지원금의 경우 계약 시작시, 기타 지원금의 경우 월별 or 분기별 수취 예상)
ii.
마케팅 지원금 산정에 필요한 back data와 정산서를 차이에 어느 시점에 어떻게 요청하는지는 아직 Master쪽과 협의 중이어서 추후 follow-up 필요함. (차이 → Master 정산서 송부 & Master → 차이 지원금 지급 or BC에서 일괄 data 공유 후 정산서 송부 절차 없이 바로 Master → 차이 지원금 지급인지 확인 필요)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Background
•
보통 3% 이하가 국제결제 → 요즘은 코로나 때문에 1% 이하
•
Why MasterCard? 마케팅 인센티브가 가장 쎔
◦
5년의 계약기간 동안 115억의 인센티브를 받을 수 있는 기회
▪
카드 발급 후 1년동안 받음
자유로운 20억의 마케팅 비용
•
1년차에 사용할 수 있는 마케팅 지원금은 크게 3가지로 구분할 수 있음
◦
(1) 자유 마케팅 지원금 : 약 10억원. 이건 선입금 될 것이고 자유롭게 사용 가능.
▪
매월 또는 지정된 주기로 지급을 먼저 해주고 그 다음 성과를 보면서 이 만큼 부족했네 초과됐네 하면서 잔여금을 어떻게 지급할까? 이런 논의를 한다는 뜻
◦
(2) contactless 카드 지원금 : 발급좌당 $1이 지원되므로 이것은 발급비로 활용할 수 있음. (최대 $500,000 지원 가능)
◦
(3) 미래 수수료환급금을 당겨 쓰는 것 : 약 5억원
▪
남은 기간 동안 90억+를 수수료로 환급받는 방식
•
차이가 마스터에게 줘야되는 수수료의 80% 정도를 감면
•
단, 90억은 시뮬레이션했던 매입액에 맞춰 산정한 금액이기에, 매입액에 따라 변동 가능
•
발급비
◦
장당 5000원 + 2500원 배송비(배송비+BC발급비) = 7000원 ~ 7500원
▪
선불체크카드 4500원 + 2500원 배송비 = 6500원 정도 됨. 국제카드는 교통카드 겸용 칩이 추가되어서 발급비용이 증가.
▪
비교통 컨텍카드 기준 장당 2510원, 교통 컨텍리스 카드 4208원(비교통 → 교통 비용은 343원 추가)
•
수수료 구조
◦
AOV 4만원 이상부터 BEP
▪
이해관계자가 많아져서 복잡!
▪
비씨카드가 국제결제가 일어날때마다 건당 받아가는 730원의 수수료가 가장 큼
◦
해외직구 AOV가 5-6만원 정도 되기때문에 마케팅 스킴이 잘 짜지면 큰 문제는 안 될 수 있음
•
MasterCard와 논의된 목표 (그냥 FYI, 우리에게 중요한 인포는 아님)
◦
발급좌수 - 1년간 50만좌 정도 발급으로 목표를 잡음
◦
매입액 - 유저당 월간 매입액 45만원의 1%가 해외거래액 → 향후 3%로 정상화되는 것으로 예상
Projection/비즈니스 목표 설정
•
시뮬레이션 공유 KJ Lee
추가 논의 주제
1.
각 부서마다 담당자 지정 요청 Anna Choi
a.
사업 - Soy Hong
c.
프로덕트 - Jihoon Kim
d.
재무 - Jinny Baek / Will Kim
e.
정보보안 - David Yoon / Eiches Han
f.
법무 - Dayeon Ahn
g.
CS - Adam kong
h.
Data - Mason/Simon
2.
출시 목표일: 11월 18일 목요일
a.
사전 공지/홍보는 2주 전
b.
i.
‘비교통' 칩 5만 (교통 불가능) + 교통 칩 5만 (교통 활성화 된 상태에서 나가는 카드) 발주를 넣은 상태
1.
‘비교통’ 칩이 떨어지기 전에 교통 기능 출시 필수
ii.
2개가 상품번호가 다름~ => BIN 넘버 뭐에요!?(5246-88)
3.
결제테스트 진행 유무
a.
판을 작게 - 용산 미군부대 + 해외직구
b.
판을 크게 - 해외에 있는 지인들에게 카드를 보내서 결제테스트
4.
FDS 강화 필요 @정보보안
5.
외환 취급 업자로써의 자격조건 유지 KJ Lee
a.
직원 중 2명 (Esther, Elena)이 수료해야되어서 함 → Elena 대체할 분 찾아야 됨!
6.
a.
국내결제 <> 해외결제 넘어오는 데이터 상이
b.
해외 결제시 환율 차이로 승인 시점과 매입시점의 금액이 상이해짐. 기준 필요! Jihoon 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