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상 산출물
Objective
Objective란?
•
분기 동안 우리가 나아가야할 방향으로 동기부여를 시켜줘야 합니다.
•
사용자의 관점에서 우리가 무언가를 할 때 얻을 수 있는 효과를 표현할 수 있어야 합니다.
•
좋은 목표문은 단순하고 구체적이며 확장 가능하지만, 불가능하지 않습니다.
bad ”이번 분기에 백만 달러 매출을 기록한다.”
good ”한국 가맹점을 위한 최고의 광고 플랫폼이 된다.”
Key Metrics (핵심 지표)
핵심 지표란?
•
핵심 지표는 우리의 목표를 정량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
좋은 핵심 지표는 숫자로 표현할 수 있고 측정 가능하며 광범위하지 않습니다.
예 차이를 광고 플랫폼으로 사용하는 가맹점의 퍼센테이지
예 가맹점 당 인입되는 CS 건 수의 평균
Conclusion
Scrum Mission
1.
UX 스크럼은 사용성 개선을 통해 유저가 차이에게 느끼는 가치(혜택*사용성)를 극대화해 유저의 이탈을 막거나 리텐션을 높이는 데 기여하는 스크럼이다.
2.
사용성 개선을 위해 유저가 직관적이고 쉽고 빠르게 원하는 목적을 달성하게 만드는 일을 수행한다.
앱 사용성 개선 작업은 0~1 작업과 1~1.1 작업으로 분류한다.
•
0~1 작업
◦
있는게 당연한 스펙
◦
예: 번개 만료 기간 표시, 부스트 찾기 쉽게 만들기
•
1~1.1 작업
◦
identity와 관련된 작업
◦
예: 부스트 팝업, 애니메이션
Meeting Note
2022-06-21 UX 스크럼의 미션이 뭐라고 생각하세요? 화
Scrum Mission
1.
UX 스크럼은 사용성 개선을 통해 유저가 차이에게 느끼는 가치(혜택*사용성)를 극대화해 유저의 이탈을 막거나 리텐션을 높이는 데 기여하는 스크럼이다.
2.
사용성 개선을 위해 유저가 직관적이고 쉽고 빠르게 원하는 목적을 달성하게 만드는 일을 수행한다.
•
배경: UX 스크럼 초기 목적은 앱 사용성 증진이었습니다.
앱 사용성이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앱 사용성을 왜 높여야 할까요?
앱 사용성이 전사적으로 중요할까요? 중요하다면/중요하지 않다면 왜인가요?
앞으로 6개월 동안 무엇이 이루어지면 앱 사용성이 증진됐다고 (진심으로) 말할 수 있을까요?
‘앱 사용성 증진' 이라는 말을 다 지워봅시다. 지금 우리 서비스에 가장 필요한건 뭐라고 생각하세요?
컨점
2022-06-22 우리가 이번 분기에 해야 할 가장 중요한 일은 무엇일까요? 수 목
•
미팅 전 6월 MBR에서 결정된 차이의 방향성을 공유드립니다.
CHAI의 분기 방향성
1.
CPB을 이용하여 지출을 Projection하고 필요하다면 CPB를 줄여나가며 unit economics를 맞춰가는 방향으로 가고자한다 → CPB를 줄이는 방법중에 가장 빠르게 실행할 수 있는 Boost의 스킴을 조정하여 사용 번개 대비 Cashback을 줄이는 방안을 생각하고 있는것 같은데, 자세한 내용이 나오면 추후 공유 예정이다.
2.
위와 같은 상황에서 사용자의 이탈이 우려되기 때문에 "앱 사용성 개선"에 Product은 신경써야한다. (모바일 리소스 관점 우선순위 앱 사용성 > 신용카드 발급 > D2C)
3.
D2C사업은 수익성 개선이라는 부분에서 중요하다.
변동 가능성 (수요일 재공유 예정)
1.
차이 전체 CPB를 계산해 예상 캐시백률을 2.5%로 맞추면 수익이 중요한 문제가 아닐 수 있다. (설득 중)
2.
결국 plcc 발급장수 올리는게 수익을 위해 어느정도 top-down으로 내려온 지표인데, 1과 같은 상황이라면 현재 수익 때문에 중요한 PLCC의 경우 프로덕트의 우선순위인가? 더 시급한 문제는 없는가? (앱 사용성에 모두가 올인을 한다든지)
•
6월 21일에 정해진 UX Scrum의 미션을 명문화해 공유드립니다.
Scrum Mission
1.
UX 스크럼은 사용성 개선을 통해 유저가 차이에게 느끼는 가치(혜택*사용성)를 극대화해 유저의 이탈을 막거나 리텐션을 높이는 데 기여하는 스크럼이다.
2.
사용성 개선을 위해 유저가 직관적이고 쉽고 빠르게 원하는 목적을 달성하게 만드는 일을 수행한다.
1.
분기 Objective를 위해 아래 질문에 답변해봅시다.
3분기 안에 유저가 행복한 부스트 경험(/ 부스트 탐색 경험)을 만든다.
이번 분기에 전사적으로 우리 스크럼에 기대하는게 뭐라고 생각하시나요?
부스트 관련 유저의 불편사항을 잘 개션해서 부정적인 피드백(커뮤리뷰, CS)을 줄이기를 바랄 것이다.
Meeting Note
이번 분기에 어떻게 우리 사용성을 개선해 이탈을 막거나 리텐션을 높일 수 있을까요?
부스트 관련 경험을 개선해 이탈을 막거나 리텐션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Meeting Note
컨점
2.
핵심 지표 작성을 위해 아래 질문에 답변해봅시다.
위 목표(유저가 행복한 부스트 경험)에 대한 정량적인 지표는 무엇이 있을까요?
a.k.a. 어떤 지표가 올라야 ‘유저가 행복하다’고 말할 수 있을까요?
buy boost에 집중한다.
부스트 구매 횟수 (buy boost event total)
부스트 리스트 진입 후 부스트 구매까지 걸리는 시간 평균 (boost list > buy boost)
부스트 구매 리텐션 (buy boost retention daily/weekly)
해당 지표의 목표 수치는 어느 정도 인가요? 얼마나 달성해야 성공했다고 볼 수 있을까요?
목표수치는 충분히 도전적인가요?
세워진 목표 수치를 70% 이상 달성했을 때 목표가 달성되나요?
Meeting Note
2022-06-23 우리가 해야 할 일은 무엇이 있을까요? (Ideation) 목
핵심 지표를 높이기 위해 우리가 해야 할 Action Item을 아이디에이션 합니다.
4. 번외) 우리는 어떻게 일하는걸 좋아하나요?
사용성 관련 백데이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