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

부스트 탐색 UX 개선

부스트 리스트를 보는 유저 니즈 분리

탐색 목적
구매 의지
상황
예시
단순 브라우징
어떤 부스트가 있는지 둘러봄
“오늘은 어떤 부스트가 있나?"
특정 카테고리 탐색
부스트 있는 브랜드에서 구매하고자 할 때 (브랜드 중요도가 낮은 경우)
“렌트카 부스트 뭐가 있나?” “커피 어디서 마실까?”
특정 부스트 탐색
결제 직전 부스트를 찾을 때
“아까 봤는데 어디있지?” “오늘 스타벅스 부스트 있나?”
(특정 부스트 탐색) 사용자는 원하는 순간에 원하는 부스트를 찾기 어렵다.
Background
원하는 부스트를 찾기 어렵다는 VOC가 꾸준
사용자는 결제가 임박한 순간에 부스트를 구매할 것이다.
오프라인 부스트를 찾는 어려움이 온라인보다 더 클 것이다.
Goal
1.
오프라인 부스트 탐색 → 구매 시간이 감소한다.
2.
부스트 찾는 불편 관련 VOC가 감소한다.
Success Metric
사용자가 추천 팝업 진입 3초 안에 (원하는) 부스트를 구매한다.
제품 핵심 가치
1.
앱에 들어와서 바로 할 수 있는 액션 (더블탭, 흔들기, ...)
2.
유저의 행동을 기반으로 부스트를 선별해 노출한다.
(노출 기준은 1 즐겨찾기한 부스트 2 가장 많이 구매한 부스트 3 가장 최근에 구매한 부스트를 중복 없이 섞을 예정)
3.
한 화면에 여러 개의 부스트(브랜드)를 노출한다.
(단순 브라우징, 특정 카테고리 탐색) 사용자는 부스트를 둘러보기 어렵다.
Background
차이는 사용자가 부스트를 탐색하고, 발견하는 마케팅 플랫폼을 지향함.
사용자가 특정 부스트만 찾는 등 목적이 우선되는 행태를 지양함.
Goal
1.
한 화면에 보이는 부스트 수가 많다.
2.
부스트에서 부스트 간 이동이 쉽다.
3.
특정 기준에 따라 부스트를 분류해서 볼 수 있다.
4.
차이앱 내에서 브랜드에 관해 유저에게 새로운 인식을 제공한다.
Success Metric
세션타임

Spec

MVP

History

Meeting Notes
Hypothesis
User story
Policy
Wirefr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