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ground
•
원하는 부스트를 찾을 때 캐러셀을 여러 번 돌려야 하는 점이 불편하다는 VoC가 끊이지 않습니다.
부스트 탐색에 대한 불편 VoC
•
부스트 탐색의 어려움 중에서, 결제 직전 오프라인 부스트를 쉽게 찾을 수 없는 문제를 우선적으로 해결할 예정입니다.
•
해당 문제를 ‘위치 팝업’이 해결할 수 있는지(기능적 측면), 위치 팝업으로 사용자가 오프라인 부스트를 쉽게 찾고 구매하는지(사용자 효용 측면) 테스트하고자 합니다.
•
이를 위해, 단 기간에 기능을 구현하여 검증할 수 있는 차이 임직원 대상 MVP 테스트를 기획하였습니다.
Hypothesis
테스트를 통해 알고자 하는 것
1. 위치 팝업에서 부스트를 구매하는가?
2. 오프라인 부스트를 찾는 시간이 감소하는가?
3. 오프라인 부스트 구매가 증가하는가?
4. 사용자의 ‘부스트 탐색의 어려움’이 감소하는가?
가설 | 검증 |
사용자는 위치 팝업에 진입할 것이다. | Funnel) boost_list→위치 팝업 |
사용자는 위치 팝업에서 부스트를 구매할 것이다. | - 위치 부스트 구매 전환율 (부스트 구매/위치 팝업 진입)
- 메인에서 view_boost_detail → buy_boost 전환율과 비교 |
사용자의 오프라인 부스트 구매가 증가할 것이다. | - 오프라인 buy_boost
- 일반 유저와 테스트 참여자 비교 |
오프라인 부스트 구매한 경우
앱 진입 → 구매까지 시간이 줄어들 것이다. | boost_list→buy_boost 소요 시간 |
사용자의 ‘부스트 탐색의 어려움’이 감소할 것이다. | 테스트 참여자 감상 리포트 |
Plan
•
대상: 차이 임직원 최소 50명 / 최대 제한 X
•
Calendar view
Search
Analysis
1.
정량
•
테스트 참여자의 데이터 관찰, buy_boost 증가는 일반 유저 포함한 데이터와 비교 예정입니다.
•
정확한 데이터 분석은 어렵기 때문에 정성적인 분석에 초점을 맞추려고 합니다.
◦
일반 유저와 비교하기에 매우 적은 모수
◦
대상이 차이 임직원이라는 점
◦
테스트 기간 동안 다른 변수가 작용할 수 있음
•
앰플리튜드
단계별 전환율 | Funnel) boost_list > enter_location > buy_boost > payment_confimed
- 메인에서 view_boost_detail → buy_boost 전환율과 비교 |
테스트 참여자는 위치 팝업에 진입할 것이다. | Funnel) boost_list > enter_location |
테스트 참여자는 위치 팝업에서 부스트를 구매할 것이다.
| Funnel) enter_location > buy_boost
- 전환율, 걸리는 시간
- 일반 유저의 buy_boost(평균)와 테스트 참여자 수치 비교 |
테스트 참여자의 (오프라인) 부스트 구매가 증가할 것이다. | buy_boost / where source = location |
테스트 참여자가 부스트 구매 전, 찾는 시간이 줄어들 것이다. | Funnel) boost_list > buy_boost
- 걸리는 시간 |
앰플리튜드 질문(사이먼 답변)
2.
정성
구글폼: 1일차 / 7일차 / 14일차 (토글: 질문지 첨부)
•
최대한 많은 임직원이 테스트 참여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
특이사항 있는 테스트 참여자 대상 심층 인터뷰를 진행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