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earch

강화 유의사항 케이스 정리

유의사항 줄글화

2022.06.01 updated. *매일 오후 12시 오픈
2022.05.17 updated. *구매 후 강화
2022.04 작성

케이스 정리

유의사항에 담아야하는 케이스를 정리해보았습니다. 이 케이스를 바탕으로 줄글 유의사항을 작성할 예정이라 누락된 케이스가 있다면 추가 부탁드리겠습니다!
기본 기능
강화는 무엇인가?
• 번개를 사용해서 랜덤하게 혜택을 높이는 기능이다. • win-miss-jackpot이 있다.
번개는 몇 개가 소모되는가?
기본적으로 1개이지만, 번개가 더 많이 필요한 부스트가 있을 수도 있다.
언제 강화가 가능한가?
• 부스트 구매 전 • 부스트 구매 후 ~ 결제하여 캐시백 받기 전
얼마나 강화가 가능한가?
무제한! 다음 조건에 해당 되지 않는다면..! • 번개가 부족할 때 • 정해진 예산이 소진되었을 때 • 해당 부스트가 아예 사라졌을 때 • 강화가 불가능한 시간일 때 → ‘강화 시간'이 유저들에게 보이는지? 아니면 해당 시간엔 강화 버튼 자체가 안보이는지?
어떤 부스트에 가능한가?
일반 부스트만 가능 (선착순/타임어택/웰컴/정기결제 불가능) 강화가 가능한 부스트는 부스트 카드 우측 상단에 위 화살표 붙어있다.
얼마나 혜택이 높아지는가?
• 정률 혜택 - 할인율 증가 + 최대 캐시백 금액 증가 • 정액 혜택 - 최대 캐시백 금액 증가
확률은 어떻게 되는가?
강화 화면에서 우측 상단 물음표 버튼 클릭 시 확인 가능
강화에 사용한 번개는 환급이 가능한가?
아니요
결제
결제 취소 시 아예 강화도 사라지는가?
노노! 다시 리스트에 부스트 보이는데 강화된 채로 보인다.
강화한 부스트로 캐시백 받았다가 취소한다면 번개가 환불되는가?
노노! 부스트 구매에 사용한 번개만 환불되고 해당 부스트는 강화된 채로 리스트에서 확인 가능
월 캐시백 한도가 얼마 안 남은 상태에서 강화 성공 하고 해당 부스트를 사용하면 강화한 만큼의 캐시백 못 받는데?
그렇다. 한도 얼마 안 남았을 때 안내 주기는 하지만,, 놓쳤다면,,그래도 환급 불가
엣지 케이스
강화 했는데 캠페인 종료되어서 강화한 것도 사라짐
⇒ 이런 케이스는 방지해야하는가 or 유의사항에 담아야하는가? 1하루 전 17시, 2당일 9시에 알림톡을 보낸다.
강화 → 캠페인 사라짐 → 시간이 한참 지난 뒤 해당 캠페인 다시 켬 → 강화 성공했던 대로 보임
⇒ 이렇게 다시 보이게 되어서 유저가 혼란을 겪는 케이스는 방지해야하는가 or 유의사항에 담아야하는가?

Q&A

스킴 테스트를 하지 않는건?
→ 마케팅에선 이슈 없습니다.
다만, gigi의 피드백으로는 → 정말 낮은 확률일지라도 잭팟이 조금 더 잭팟같은 (5천원!!!) 스킴이면 좋겠다!고 하셨습니다.
모든 부스트에 적용하는건?
→ 이건 마케팅에서 이슈 있습니다(?)
당장 처음부터 모든 부스트에 적용했을 때 만약 CS가 터지게 된다면 감당이 어렵습니다.
강화 성공한 부스트가 캠페인 노출 시간 만료로 사라지는 케이스 방지책을 보다 구체적으로 마련해야합니다. 다음은 그 이유입니다!
1 알림톡을 받지 못하는 케이스 다수 발생 예상
1.
캠페인 자체가 n일짜리로 설정되어있는 부스트라면 1일전 5시, 당일 9시 알림톡을 받을 수 있기는 하겠지만,, 사실상 탑브랜드의 경우 1일 단위로 설정됨.
2.
따라서, 마지막 알림인 9시 이후에 강화 시도한 1일짜리 부스트 (ex. 탑브랜드)라면 알림을 하나도 받지 못함
2 유동적인 캠페인 시간 조절 케이스 많음.
현재, 캐시백률 조절 위해 유동적으로 캠페인 시간대 조절
→ 이 때 강화와 충돌 발생! (왜냐면 강화는 중간에 캠페인 사라지면 안되니까)
→ 그렇다면 유의사항에 노출 시간 기입해놓고 그 전까지 쓰라고 적어놓으면 안되나요?
→ 부스트마다 유의사항에 노출 시간을 담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 (왜냐면 마찬가지로 시간 변동 케이스 많아서.)
3 캠페인마다 노출 시간이 상이한 경우 많음
탑브랜드, 차이픽, 광고주 부스트 별로 노출 시간이 상이한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탑브랜드는 하루 단위로 설정 - 차이픽은 3일 - 광고주는 요청에 따라...
현재 100-200개의 캠페인이 돌아가고 있는데, 이 모든 부스트에 강화를 붙인다고 했을 때, 매 캠페인별로 누군가 강화를 했다면 캠페인이 꺼지지 않도록 수동 관리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렵습니다.
4 간편결제 부스트 리스트는 매일 랜덤하게 변경됨.
현재 간편결제는 부스트 캠페인이 매일 랜덤 노출됩니다.
캠페인이 아예 만료되는 것은 아니더라도, 부스트가 보이지 않습니다.
따라서, 간편결제는 강화에서 제외해야할 듯 합니다.
강화와 관련된 실적은 기존 부스트 참여 실적 값들과 별개로 쌓이나요? 광고주 부스트 데이터를 조회/정산하기 위해서 따로 쌓여야하기 때문에 질문드립니다.
최종적인 스킴은 어떻게 되나요?
제안 (마케팅이 현실적으로 소화 가능한 수준)
1안 체크+신용 : 찐 탑브랜드에만 적용
1.
대신, 홈플러스 같은 아이들의 할인율 낮추기! 몰빵 개념
2안 신카 ONLY : 신카 부스트에 모두 적용 → 추후 확대
1.
체크는 신카 결과 보고 대입해보기! 순차적으로.
2.
신카도 부스트 많으니까 어떤 브랜드에 강화 많이 하는지 파악.
a.
ex. 60개 중 탑브랜드만 쓴다면 → 체크에서도 탑브랜드만!
3.
운영 측면에서도 용이하다.
4.
나름대로 신카 유저만의 혜택으로도 홍보 가능
3안 1안과 2안의 투트랙 : 체크 = 탑브랜드 / 신용 = 모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