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ground
1.
사용자들은 자신이 원하는 부스트의 혜택을 더 높게 받기를 원합니다.
2.
차이는 내부적으로 번개를 더 소진시켜야 합니다.
3.
혜택을 더 높게 받고 싶은 사용자와 번개를 더 소진시키고 싶은 차이, 둘 다 만족시키기 위해서 게이미피케이션 요소를 추가하고자 합니다.
Goals
1.
사용자가 강화 기능을 사용한다.
2.
기존 부스트보다 번성비가 낮게 유지하면서 번개 소진율이 증가한다.
a.
해당 월 bolt in의 7% (2022-5월 기준 400,000개 예상)
i.
번개드로우 잘한 달 (3월)이 7-8% (350,000개)
3.
not to do 사용자들은 본인이 원하는 브랜드에 강화를 할 것이다. 즉, 사용자가 강화하는 브랜드의 폭을 넓히는 것은 우리의 목적이 아니다.
Success Metric
1.
buy boost 대비 강화 시도 전환율
2.
강화 전/후 번개 소진율
3.
최초 캠페인에서 강화 시도 후 다음 캠페인 강화 conversion
가설
1.
유저가 강화 기능을 사용하면 번개 in&out ratio가 개선될 것이다.
2.
일정한 스킴보다 꽝/잭팟이 확연히 구분된 스킴이 강화 리텐션이 더 높을 것이다.
1.
같은 금액이라도 여러 번 나눠 받은 유저보다 한 번에 뭉텅이로 받은 유저의 강화 리텐션이 높을 것이다.
(똑같이 강화 20번을 해도 10개의 브랜드에서 20번을 하는 것보다 3개의 브랜드에서 6-7번의 강화가 리텐션이 높을 것이다.)
•
원하는 강화 유저 경험
1.
사용자가 큰 고민없이 강화해볼까? 번개 던져볼까? 잃을 거 없잖아? 라는 접근을 이끌 수 있는 스킴
2.
유저가 뭉텅이 금액(약 1,000원 예상)을 받아갈 수 있는 스킴과 한 번에 6회 이상 강화하게 만드는 유저 플로우
지표
•
강화 시작 후 평균 강화 시도 횟수 (목표: 6회)
•
한 부스트 당 평균 획득 금액 (목표: 1,000원)
•
인당 주별 획득 금액 평균 (목표: 2,000~3,000원)
대시보드 구성
정책
번개 소모
모든 강화는 번개 1개를 소모한다.
혜택
1차) 캐시백 금액과 할인률이 높아진다.
할인률는 최대 100%까지 높아질 수 있다.
최대치
최대치는 따로 없다. 어드민에서 설정할 수 있다.
(이론적으로는 한 캠페인에서 한 명이 잭팟을 여러 번 터트릴 수 있고 여러 명이 잭팟을 터트릴 수 있다.)
결과
•
모든 강화 시도는 1) 실패 2) 성공 3) 잭팟으로 나뉜다.
•
전체
◦
성공 금액은 a) 최소 금액 b) 최대 금액 사이 c) 최소 단위로 랜덤하게 금액이 결정된다.
▪
예) 최소 금액 20원, 최대 금액 200원, 최소 단위 10원 이라고 하면
•
20, 30, 40...200원 중 랜덤하게 결정된다.
•
단위는 어드민에서 설정할 수 있다.
•
강화와 연결되는 캠페인이 정률 스킴인 경우 추가 캐시백과 추가 할인율 모두 적용된다. 정액 스킴일 경우 실제로는 추가 캐시백만 적용된다.
◦
정액 할인의 경우
▪
추가 할인율만 적용된다.
◦
정률 할인의 경우
▪
모든 강화의 잭팟의 할인율은 100%로 설정해야 한다.
▪
추가 할인율 + 100% 할인으로 변경된다.
예산
•
여러 강화는 한 예산을 공유할 수 있다.
•
강화의 예산은 어드민에서 언제든 증액/감액될 수 있다.
•
사용된 예산은 구매 여부와 상관없이 강화된 캠페인에 사용된 모든 금액이다.
◦
강화해두기만 하고 해당 캠페인을 안 사도 예산? → YES
헷갈림 방지를 위해 시스템에 예산은 하나만 갖고 있자.
화면 별
부스트 리스트
1.
일반 캠페인만 강화할 수 있다.
a.
불가 리스트
i.
선착순
ii.
타임어택
iii.
웰컴
iv.
정기 결제
2.
캠페인 구매 전에 캠페인을 강화할 수 있다.
3.
구매한 캠페인을 강화할 수 있다.
a.
구매한 후 부스트 사용 결제 전까지 강화를 할 수 있어야 한다.
4.
강화를 못하는 상황은 아래 중 하나이다.
a.
예산이 소진되었거나
b.
강화 status가 off거나
c.
강화 가능한 시간이 아니거나
d.
볼트가 부족하거나
e.
캠페인이 오픈 예정이거나
5.
사용자가 강화를 한 캠페인일 경우, 강화된 버전의 캠페인이 리스트에서 보여야한다.
•
강화된 캠페인이 결제에 적용되었다가 해당 결제가 취소되었을 때, 리스트에 다시 해당 캠페인이 보일 수 있는데 이 때도 강화된 버전의 캠페인이 보인다.
강화 디테일
1.
강화 정책이 해당 캠페인에 적용되어 있다면 강화 디테일에 들어갈 수 있다.
a.
not to do 사용자의 번개 보유수로 인한 강화 가능 여부는 강화 진입 여부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b.
not to do 사용자의 캐시백 한도로 인한 강화 가능 여부는 강화 진입 여부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2.
후적용 캠페인 구매 전 강화할 수 있다. (3.8 에서 불가능)
액티비티
강화 내역이 액티비티에서 보여야한다.
연속된 강화 액티비티는 묶여서 총합으로 보여진다.
not to do 묶인 액티비티는 펼쳐져서 디테일이 보이지 않는다.
FAQ
1.
캠페인 1에 강화 2번 성공
2.
캠페인 1 구매하지 않음
3.
캠페인 1 만료로 리스트에서 사라짐
4.
8개월 후 캠페인 1을 다시 켬
5.
1번에서 한 2번의 강화 성공이 다시 보이게 됨
사용자가 강화를 할 이유가 뭐죠?
강화를 하면 burn이 순간적으로 올라갈텐데...
확률이 변경됐을 때, 사용자에게 고지가 가나요?
구매 전에 왜 강화하게 하는거에요?
캠페인 구매 전 강화를 했다면 캠페인 구매 가격이 달라지나요?
강화만하고 캠페인을 안 산다면?
그 캠페인이 사라지면?
예산이 다 사용 됐을 때 시나리오 별로 어떤 일이 벌어지나요?
강화부스트를 결제했는데 바로 타의로 결제취소(전산문제, 가맹점실수 등)가 되었어요. 이후 결제를 바로 하는 경우 강화조건도 동시에 날라가서 문제가 될것 같은데요. 강화부스트는 결제취소시 번개로 돌려주지 말고 강화조건의 부스트로 돌려줘야 할것 같아요.
부스트 취소를 해도 강화에 건 번개를 돌려주지 않는다면...강화부스트를 취소할때마다 명확하게 유저에게 보여지는 부분이 필요할 것 같아요. 팝업 후 고객이 확인을 반드시 누른다 등등
영업부스트의 경우 기본적으로 번개 가치가 매우 높게 형성이 되어 있는데요. 강화를 하면 그 가치 그대로 부여가 되나요? 그럼 제휴사와의 예산이 소수인원에게 집중 사용될수 있을 듯 합니다.
월한도가 얼마 안남은 고객이 강화를 했어요. 예를 들어 98,000원 월한도를 채운 고객이 강화를 해서 1만원 결제시 100%캐시백 되는 강화를 받았다면 어떻게 되나요? 2,000원만 적립이 되면....그 고객에게는 강화에 사용된 번개는 환급조치가 되나요? 아님 고객 미인지 문제로 보나요?
부분취소하면 어떻게 되나요?